본문 바로가기
수학 공부방/11월 수능

2022학년도 수능 수학 손풀이 9, 10, 11, 12번 (2021년 11월 시행)

by Openmath 2023. 10. 31.
반응형

곧 다가올 수능을 대비하며 지난 포스팅에 이어 2년전 수능 4점 문항 손풀이를 업로드 한다. 수험생들을 자신만의 실력으로 기출들을 꼭 풀어보고 풀이를 참고해서 부족한 점들을 학습해 보자. 

9번 문항

두개의 지수 함수와 관통하고 있는 직선이 있다. 직선과 만나는 두 교점사이의 거리와 직선의 기울이가 있으면 보통 두 사이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경우가 많이 있다. 점P, Q가 서로 어떤 위치 관계에 있는 지만 확인하면 대입한 후 연립이 가능하다. 

10번 문항 

정보가 많이 주어져 있는 문항이다. 접점도 모두 주어져 있고 접선이 일치하기 때문에 접선 자체가 두 접점을 지나는 것이라서 그냥 접선이 나온다. 문제를 잘 읽고 접선이 바로 주어졌다는 것을 바로 알아내야 한다. 

 

 

 

11번 문항

tan함수의 주기가 a인것을 먼저 찾고 나면 정삼각형의 한변의 길이가 a와 일치하기 때문에 주어진 모든 점들의 좌표를 a로 표현하 수 있는 상황이 된다. 앞의 9번 문항과 느낌이 비슷하다. 점의 정보를 tan함수에 대입하면 정보가 가볍게 나온다. 

12번 문항

이 문항은 문제의 뜻을 잘 이해해야한다. 누군가에게는 너무 쉬운 문항이지만 누군가에게는 어려울 수 있다. f(x)함수가 x 또는 -x 또는 1로 표현될 수 있는데 연속임을 만족하면서 3가지 중 하나로 결정된다면 (-1,-1) , (0, 0) , (1, 1) 에서만 다른 함수로 바뀔 수 있다. 다양한 형식의 선택이 가능함을 알고 조건에 맞는 것을 찾아보자. 

 

다음 포스팅에서 봅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