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공부방/주식 공부방

퀀트 투자 직접 실행 해보기 (feat. 강환국, 퀀터스)

by Openmath 2023. 9. 22.
반응형




말로만 투자를 하는 것은 결국 실력향상도 성과도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  직접 퀀트 투자를 작은 금액부터 경험해 보고 어떻게 되는지 살펴보기로 하였다. 앞서 설명하였던 퀀트 투자 방법을 활용하여 실제 적용하는 것을 같이 공유 해보고자 한다. 지금 들어있는 계좌의 기업들은 절대 종목에 대한 추천이 아닌 그냥 프로그램을 돌려서 나온 것임을 거듭 강조한다. 그냥 한번 해보는 것이다.

이전글 : 퀀트 투자 나도 한번 해볼까?

1. 퀀터스 사이트 들어가서 로그인하기

- 퀀터스
- 태블릿(안드로이드)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크롬브라우져가 삼성인터넷 보다 좀더 원활하게 진행되는 듯하니 참고하길 바란다.
- 카카오톡으로 로그인  (초급 선택, 중급, 고급은 유료이고 초급은 아직 무료이다.)

2. 퀀터스 백테스트 시작

- 유니버스 : 한국
- 기본필터 : 전체선택하여 적합하지 않은 기업군들을 제외 + 소형주 투자를 기준으로 진행
- 팩터선택에서는 가치팩터와 성장성 팩터 2가지만 활용
- 가치팩터 : PER, POR, PSR, PGPR 선택
- 성장성팩터 : 순이익성장률(YOY), 영업이익성장률(YOY), 매출총이익성장률(YOY), 매출액성장률(YOY) 선택
- 팩터는 개인성향에 맞게 자유롭게 설정해도 무관, 이것저것 다양한 조합을 설정해서 백테스트 해보자.

3. 백테스트 설정

- 초기투자금액 설정
- 거래 수수료 : 0.5% 설정
- 리밸런싱 기간 : 분기별
- 종목수 : 20개
- 백테스트 시작!!!!

4. 백테스트 결과 확인

- 다운로드한 페이지 파일을 열어서 한국어로 번역
- 20년간 연평균 수익률 (CAGR) : 48.82% 확인 (2023.09.23. 기준)
- 최대하락폭 (MDD) : 61.22%
- 2007년 9월 ~ 2009년 5월 최대 하락폭 61.22% (서브프라임 모기지&리먼브라더스 사태)
- 2020년 1월 ~ 2020년 6월 그 다음으로 큰 하락폭 47.98% (코로나)
- 그 다음 하락폭은 35% 미만

5. 백테스트 결과 분석

- 연평균 수익률은 48%이상이니 충분히 높지만 최대하락폭이 61%이상으로 매우 무섭다.
- 아무리 연평균이 높아서 쭉쭉 상승하더라도 중간에 61% 하락을 한번 맞으면 절반이상의 자본을 잃기 때문이다.
- 따라서 팩터들을 수정하면서 조금더 좋은 수익률과 조금이라도 낮은 하락폭이 구성되도록 전략을 바꾸어 보아도 좋다.
- 사실 그냥 진행해도 된다. (리먼 사태와 코로나와 같은 엄청난 위기는 언제찾아올지 아무도 모르고 새로운 기회가 될것이기 때문이다.
- 또한 모든 자본을 퀀트투자에 몰빵할 수는 당연히 없다. 다른 형식의 투자와 자본들이 충분히 완충할 수 있도록 자산을 배분해 두면 되겠다. (이전글 :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짜기)

6. 포트폴리오 추출하기

- 위의 동일한 과정을 거쳐서 초기 투자금액, 종목수를 결정하고 포트폴리오 추출
- pc에서는 바로 열기 가능한 엑셀로 나오지만 태블릿에서는 확장자를 바꿔주어야 한다.
- 엑셀파일을 열어 확인하면 기업이 포트폴리오로 추출된다.
- 기업의 주식 매수는 직접해야한다.
(퀀터스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매매가 되도록 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서 진행하고 있다고도 함.)



이런 과정을 통해 직접 퀀트 투자를 한번 경험해 보자. 주식계좌 중 잘 쓰지 않는 계좌를 하나 선정하고 퀀트를 통해 추출한 기업들을 동일 비율로 매수하고 그냥 1분기(3개월) 뒤에 열어서 매도를 하자. 얼마만큼의 수익이 나는지 중간중간 지켜보자. 소형주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변동성이 상당할 수 있지만 20개의 기업으로 분산되어 있어 감당할 만 할지도 모르겠다. 처음부터 큰 금액은 부담이 될 수 있으니 작은 금액부터 시작해 보는 건 어떨까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