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11월 6일 월요일을 기준으로 공매도 금지 정책이 갑자기 시작되었다. 공매도가 무엇이며 이런 공매도 금지 정책의 배경, 정책 시행시 생기게 되는 영향을 알아보자.
1. 공매도란?
- 공(空 : 빌 공)매도
- 특정 종목의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면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주식을 빌려 매도 주문을 내는 투자 전략이다. 주로 초단기 매매차익을 노리는 데 사용되는 기법이다. 향후 주가가 떨어지면 해당 주식을 싼 값에 사 결제일 안에 주식대여자(보유자)에게 돌려주는 방법으로 시세차익을 챙긴다. 공매도는 주식시작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반면 시장 질서를 교란시키고 불공정거래 수단으로 악용되기도 한다.
2. 공매도 금지 정책의 배경
- 불법 공매도 행위가 시장의 안정과 공정한 가격 형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는 판단 하에 내년 상반기 까지 공매도를 전면 금지하는 것으로 결정함.
- 최근 실제 외국계 투자 회사의 불법 공매도 사례가 있었음.
3. 공매도 금지 정책의 영향은?
- 대체적으로 증시 흐름에 대해서 낙관적인 분위기가 만들어지고 있으며, 특히 많은 공매도의 잔고비율을 갖고 있는 기업들의 주가의 상승이 기대되는 부분이 있음.
- 공매도 숏커버링으로 인행 매수 쏠림이 주가를 강하게 밀어올리는 효과가 생길 수 있음.
- 최근 공매로 거래대금이 높았던 2차전지 종목들에서 위의 상황이 벌어질 것으로 볼 수 있음.
- 단기적으로는 주가의 상승을 견인하겠지만 이것은 기업의 내재가치와 금리에 영향이 있는 것이 아니고 주가의 변동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기 때문에 모든 기업에서 무조건 적인 주가 상승이 일어나는 것은 아닐 수 있음을 알아야함.
- 공매도 금지로 인한 외국인 자본의 빠져나감으로 주식시장의 유동성을 줄이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음.
4. 그 외 알면 좋은 것들
- 내년 총선을 염두해서 정책을 시행함으로써 지지율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 아닌가하는 추측이 있음.
- 이전에도 이런 경우가 있었으나, 이번에는 과거의 사례처럼 세계적인 경제 충격이 있는 상황은 아니기 때문에 과도한 정책이라는 의견도 나옴.
- 공매도 금지를 시행하는 것이 글로벌 스탠다드의 기준에 적합한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 MSCI 선진국 지수에 편입되기 힘든 것 아닌가하는 의견이다.
- 전세계에서 공매도를 금지하는 나라는 많지 않다.
- 공매도의 순기능은 갑자기 과도하게 과열된 기업의 주가를 공매도가 견재함으로써 적정한 주가로 돌아갈 수 있도록하기도 한다.
공매도 금지를 통해 단기적으로는 주가의 상승이 생길 수 있다. 지금 갖고 있는 기업들의 주가 상황을 잘 판단하고 이 기회를 통해 빠져나오거나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을 잘 진행해야 하겠다.
'경제 공부방 > 주식 공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투자하기 (비트코인 개념, 투자방법) (0) | 2023.10.11 |
---|---|
퀀트 투자 직접 실행 해보기 (feat. 강환국, 퀀터스) (0) | 2023.09.22 |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짜기 (주식, 금, 채권, 달러 등) (0) | 2023.09.15 |
바이오 대세 상승장이 다시 오는가?(바이오 주가 전망) (0) | 2023.09.12 |
레버리지 활용하기 (TQQQ, SOXL, FANG 등) (1) | 2023.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