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파스타 소스는 이탈리아 요리의 꽃이라고 할 수 있죠. 종류도 다양하고 맛도 각양각색인데요, 오늘은 특히 대중적으로 사랑받는 볼로네제, 라구, 알프레도, 카르보나라, 페스토 등 대표 소스들을 소개하고, 간단하고 맛있게 만들 수 있는 레시피도 함께 알려드리겠습니다.
1. 볼로네제 소스 (Ragù alla Bolognese)
특징
- 고기 베이스의 진한 토마토 소스
- 미트 소스의 대표격, 파스타 뿐만 아니라 라자냐에도 많이 사용
재료
- 다진 소고기 300g
- 양파 1/2개 (잘게 다진 것)
- 당근 1/2개 (잘게 다진 것)
- 셀러리 1줄기 (잘게 다진 것)
- 마늘 2쪽 (다진 것)
- 토마토 페이스트 2큰술
- 으깬 토마토 캔 400g
- 올리브유 2큰술
- 소금, 후추 적당량
- 우유 100ml (선택)
- 레드와인 50ml (선택)
만드는 법
- 팬에 올리브유를 두르고 다진 양파, 당근, 셀러리를 넣어 중불에서 5분간 볶아주세요.
- 마늘과 다진 소고기를 넣고 고기가 익을 때까지 볶습니다.
- 토마토 페이스트를 넣고 1~2분 더 볶은 후, 으깬 토마토와 레드와인을 넣습니다.
- 소금, 후추로 간하고, 약불로 줄여 1시간 이상 천천히 끓입니다.
- 중간에 우유를 넣어 고기의 질감을 부드럽게 해줍니다.
2. 라구 소스 (Ragù)
특징
- 볼로네제와 비슷하지만 고기 종류나 향신료, 재료에 따라 변형된 여러 가지 버전이 있음
- 기본적으로 토마토 베이스에 고기, 야채가 듬뿍 들어감
기본 재료
- 다진 소고기 또는 돼지고기 300g
- 양파, 당근, 셀러리 각 1/2개씩
- 토마토 소스 또는 으깬 토마토 400g
- 올리브유, 소금, 후추
- 허브 (로즈마리, 타임, 바질 등)
만드는 법
볼로네제와 거의 동일하며, 취향에 따라 돼지고기 섞기, 향신료 추가 등을 하시면 됩니다.
3. 알프레도 소스 (Alfredo Sauce)
특징
- 크림과 버터, 치즈 베이스의 부드럽고 진한 흰색 소스
- 페투치니 알프레도(Fettuccine Alfredo)로 유명
재료
- 버터 50g
- 생크림 200ml
- 파마산 치즈 50g (갈아서 준비)
- 소금, 후추 적당량
만드는 법
- 팬에 버터를 녹인 후 생크림을 넣고 끓입니다.
- 불을 약하게 줄이고 파마산 치즈를 넣어 잘 녹여줍니다.
- 소금, 후추로 간을 맞추고, 바로 삶은 파스타와 섞어 주세요.
4. 카르보나라 소스 (Carbonara)
특징
- 계란과 치즈, 베이컨으로 만드는 고소하고 진한 소스
- 크림은 넣지 않는 게 정통 방식
재료
- 스파게티 200g
- 판체타 또는 베이컨 100g (작게 자른 것)
- 계란 노른자 2개
- 파마산 치즈 50g (갈아서 준비)
- 후추 적당량
만드는 법
- 베이컨을 팬에서 바삭하게 굽고, 불을 끕니다.
- 삶은 파스타에 베이컨과 기름을 넣고 섞습니다.
- 계란 노른자와 치즈를 미리 섞어 파스타에 빠르게 버무려줍니다.
- 후추를 넉넉히 뿌려 마무리합니다.
5. 페스토 소스 (Pesto)
특징
- 바질, 잣, 올리브유, 파마산 치즈가 주재료인 신선한 허브 소스
- 상큼하고 향긋한 맛이 특징
재료
- 신선한 바질 잎 2컵
- 잣 1/4컵
- 올리브유 1/2컵
- 파마산 치즈 1/2컵
- 마늘 1쪽
- 소금 약간
만드는 법
- 바질, 잣, 마늘을 믹서기에 넣고 곱게 갈아줍니다.
- 올리브유를 천천히 부어가며 섞고, 치즈와 소금을 넣어 완성합니다.
- 삶은 파스타에 골고루 버무려 주세요.
마무리
이 외에도 아마트리치아나, 아라비아타, 푸타네스카 등 유명 소스들이 많지만, 오늘 소개한 다섯 가지는 집에서도 쉽게 따라 할 수 있고, 누구나 좋아하는 베스트셀러 소스들입니다.
반응형
'세상의 모든 지식,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은 단무지 맛있게 활용하는 법! 단무지 요리 5가지 레시피 정리 (0) | 2025.06.16 |
---|---|
간장의 분류와 종류별 특징 완벽 정리 (1) | 2025.06.16 |
❄️냉동보관이 가능한 채소 7가지! 똑똑한 활용법까지 한 번에 정리 (4) | 2025.06.14 |
🎮 닌텐도 스위치1에서 꼭 마무리하며 즐겨야 할 명작 게임 10선 (2) | 2025.06.13 |
🎲 확률과 관련 있는 보드게임 추천 (유명한 순) (3) | 2025.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