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의 모든 지식, 상식

[맞춤법 바로잡기] '좇다'와 '쫓다'의 차이, 헷갈린다면 이 글로 끝내자!

by Openmath 2025. 7. 4.
반응형

한국어 맞춤법 중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좇다’와 ‘쫓다’**입니다. 발음은 비슷하지만 의미와 쓰임은 분명히 다르기 때문에 잘 구분해서 써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두 단어의 차이와 올바른 예문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 1. 좇다 — 추구하다, 따르다

✅ 의미

‘좇다’는 어떤 이념, 가치, 목표, 꿈, 이상 등을 따르거나 추구할 때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쉽게 말해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인 개념을 향해 따라가는 느낌입니다.

✅ 예문

  • 그는 항상 정의를 좇는 삶을 살았다.
  • 나는 을 좇아 서울로 올라왔다.
  • 그녀는 성공을 좇기보다는 행복을 선택했다.
  • 유행을 좇기보다 나만의 스타일을 고수했다.

🔹 2. 쫓다 — 뒤따라가다, 내몰다

✅ 의미

‘쫓다’는 눈에 보이는 대상뒤쫓거나 쫓아내는 행동을 뜻합니다. 즉, 물리적이고 구체적인 동작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 예문

  • 개가 고양이를 쫓아갔다.
  • 경찰이 도망가는 도둑을 쫓고 있다.
  • 파리를 방에서 쫓아냈다.
  • 그는 지각하지 않으려고 버스를 쫓아 달렸다.

🔸 쉽게 구분하는 꿀팁

구분 기준좇다쫓다
의미 추상적인 것을 따름 구체적인 대상을 뒤쫓음, 내쫓음
대표 예 꿈을 좇다, 이상을 좇다 도둑을 쫓다, 개를 쫓아내다
비슷한 말 따르다, 추구하다 따라가다, 내몰다
 

📝 혼동 주의! 다음 문장에서 어떤 표현이 맞을까?

  1. 그는 항상 유행을 (좇았다 / 쫓았다).
    좇았다 (유행은 추상적인 개념이므로)
  2. 경찰이 도둑을 (좇았다 / 쫓았다).
    쫓았다 (도둑은 구체적인 대상)
  3. 성공을 (좇기 위해 / 쫓기 위해) 노력했다.
    좇기 위해
  4. 그는 강아지를 (좇아 / 쫓아) 공원까지 갔다.
    쫓아

✨ 마무리하며

‘좇다’와 ‘쫓다’는 의미가 전혀 다른 단어이므로 문맥에 따라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글쓰기나 말하기에서 헷갈릴 때는,

  • 추상적이면 ‘좇다’,
  • 구체적이면 ‘쫓다’
    로 구분해보세요.

더 이상 헷갈리지 않고 올바른 맞춤법으로 자신 있게 표현해 보세요!

반응형